Blog

CARE: Enforcement of Protection Protocols for Abused Animals

Sharing for Coexistence of Animal Rights on Earth (CARE)/Watchdog

When we conduct onsite investigations or rescue abused animal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arts of dealing with passive public officials is isolating abused animals.

In 2006, there was the ‘Jangsu-dong dog’s hell Incident,’ which CARE disclosed to the public. CARE triggered a movement to revise the Animal Protection Act in the wake of this incident. Eventually, it was revised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15 years after the Animal Protection Law was first enacted. However, isolation measures have not been properly undertaken for the following 14 years. As you can see in recent cases, isolation measures for a group of abused animals are barely implemented unless they are pushed very strongly.

Why? It’s because public officials are generally indifferent to animal abuse, and it leads to their tendency toward passive judgment and lack of will.

Local animal protection officers, who are also designated as animal protection monitors, can investigate animal abuse sites, actively determine whether animals are abused, and enforce emergency isolation measures with approval from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most officials endlessly repeat the same response: they can only make a judgment if the result of a police investigation is issued. They don’t want to take responsibility for action while being too concerned about the cost of protection, the lack of space for the animals at the shelter, and the potential lawsuit from the abuser. But what will happen to animals that can’t be isolated from the abuser during the months of a police investigation in progress? It’s not too difficult to imagine the consequences.

CARE recently spoke 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n the phone to ask about their standpoint on this matter. Remember the following, and insist firmly if you find yourselves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

“A public official in charge of animal protection, who is also an animal protection monitor, can judge animal abuse through a detailed onsite investigation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text without waiting for the result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To become a member of CARE and Watchdog: Click 👉 https://link.inpock.co.kr/carekorea

Audio recording: Emergency quarantine measures (isolation) for animal cruelty. Can civil servants do it first or not? 동물학대에 대한 긴급격리조치. 공무원이 먼저 할 수 있다? 없다?

🙏🏼🐕❤️ Donate by Paypal: https://www.paypal.com/paypalme/fromcare
➡: [email protected]


통화녹음을 듣고 여러분들도 해 보세요, -피학대동물 격리조치-

동물학대 현장 조사 및 구출활동을 하며 늘 공무원들의 소극행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사안은 ‘피학대동물의 격리조치’ 입니다.

2006년 케어에서 세상에 알린 일명 ‘ 장수동개지옥 사건 ’. 케어는 이 사건을 계기로 동물보호법 개정 운동을 촉발시켰고 이 사건으로 인해 동물보호법이 제정된 지 무려 15년 후인 2007년, 대한민국 최초의 동물보호법이 개정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14년 동안 격리조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더욱이 집단의 피학대 동물 격리조치는 케어의 이번 액션처럼 매우 강하게 밀어붙이지 않으면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공무원들의 동물학대에 대한 무관심, 이로 인한 소극적 판단과 의지박약 때문입니다. 동물보호감시원으로도 지정되어 있는 지자체 동물보호 업무 담당자는 동물학대 현장을 조사하고 학대여부를 판단하여 긴급격리조치인 행정명령을 지자체 장으로부터 승인 받아 발동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지자체 담당자들은 경찰에서 수사 결과가 나와야만 학대로 판단하겠다며 앵무새 같은 답변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보호비용과 공간 부족 및 학대자의 역소송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일을 벌이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수개월간 이어지는 수사 과정 속에서 긴급 격리되지 못 한 동물들은 어떻게 될까요? 결과를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케어에서 농식품부에 전화 통화를 해 보았습니다. 농식품부도 같은 입장일까요?

통화 내용을 숙지하시고, 앞으로 여러분이 현장에서 이와 같은 일을 마주한다면 강하게 주장해 주세요.

📌“동물학대에 대한 판단 여부는 수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동물보호감시원인 담당 공무원이 구체적인 현장 조사를 통해 법조문 등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판단할 수 있다.”📌

💙케어•와치독의 강력한 회원되기✨
https://link.inpock.co.kr/carekorea
#언제나동물의편으로남겠습니다
#케어
#개농장
#개농장철폐
#animalrights
#animalrescue
#animalcruelty
#catcruelty
#stopanimalcruelty
#endanimalcruelty
#동물유기
#동물학대
#동물구조
#멍스타그램
#댕스타그램
#냥스타그램

Leave a Reply